[이슈 - 뿌리] 씬테틱 헤어에서 발암 물질 검출 논란

NBC 뉴스는 온라인 뉴스 문자판 보도를 통해 잡지사 [컨슈머 리포트 (Consumer Reports)]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 내용을 기사로 실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러 지역 방송사가 추가 취재를 실시하고 보도했다. [컨슈머 리포트]의 보고서를 추적해 보니, 2023년 5월 26일 NIH(미국 국립보건원) 온라인 의학 도서관에 게재된 아래의 논평(논문)을 기초로 한 것으로 보인다. 논문을 읽은 소수 인플루언서가 2023년부터 유튜브 등에서 이같은 사실을 밝혔지만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었다. 그렇게 묻히려나 했던 사실이 각 지역 방송사 뉴스를 통해 세상에 공개되면서 향후 커질 가능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건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뉴스의 뿌리를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논문 전체를 먼저 번역하여 옮겨왔고, 일부 부분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블릿으로 나누어 두었다. 아래의 논평 내용은 직역한 것으로, 어느 부분에도 본지의 의견이 포함되지 않았음을 밝힌다. — 편집자 주

 

씬테틱 브레이드 헤어 제품의 발암 물질: 흑인 여성들에게 인식되지 않은 위험

출처: 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저자:
Chrystal G Thomas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
CUN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 Health Policy,
New York, NY 10461, USA
 
PMCID: PMC10238826  PMID: 37274553

 

미국 전역의 흑인 여성들은 헤어 브레이딩과 관련된 물질에 대한 규제가 부족하기 때문에 발암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헤어 제품 속 유해 성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서서히 높아지고 있지만, 씬테틱 헤어 익스텐션(1)이 암을 유발하는 독소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아직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브레이딩에 사용되는 헤어 익스텐션은 인모(인간의 머리카락) 또는 씬테틱 섬유로 만들어진다. 이 중 씬테틱 익스텐션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더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익스텐션은 보통 4~6주간 착용되며, 연중 브레이드 스타일을 지속적으로 착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1년 내내 발암 성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흑인 여성들은 이미 내분비 질환, 유방암 사망률, 자궁 질환(1) 등의 발병률이 높은 집단이기 때문에, 이러한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다른 흑인 헤어 제품들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추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1). 이에 따라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씬테틱 브레이드를 사용하는 소비자, 헤어 브레이딩 전문가, 그리고 의료진에게 발암 물질에 대한 노출 가능성을 교육하고, 씬테틱 익스텐션의 성분 규제를 위한 정책을 촉구해야 한다.

2028년까지 글로벌 가발 및 익스텐션 시장은 191억 2천만 달러(약 25조 원)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흑인 여성들과 아프리카 대륙의 여성들이 이 산업의 가장 큰 소비층을 차지한다(2). 2022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 흑인 여성 인터넷 사용자 중 34%가 지난 3년간(3) 씬테틱 익스텐션을 사용한 브레이드를 착용했다고 답했다. 씬테틱 브레이드는 미국 흑인 여성(18~34세(3)) 사이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헤어스타일이었다.

미국 내 흑인 여성 인구는 약 1,610만 명이며(4), 그중 34%에 해당하는 550만 명 이상이 잠재적으로 발암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수치는 과소평가된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흑인 커뮤니티에서는 청소년 및 10대들도 씬테틱 브레이드를 자주 착용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씬테틱 브레이드의 높은 수요와 소비량을 고려하면, 이에 대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규제가 미비한 탓에, 흑인 여성들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씬테틱 익스텐션 제품에 포함된 독성 물질에 노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네칼론(Kanekalon)**이라는 저렴한 모다크릴릭(Modacrylic) 섬유는 많은 유명 씬테틱 브레이드 익스텐션 브랜드에서 사용되며, 프로페셔널 브레이더들이 권장하는 제품이다. 이는 아프로(Afro) 질감의 머리와 유사하면서도 풀리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다크릴릭 섬유는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과 염화비닐(vinyl chloride)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성분 모두 인체에 유해하다.

  • 미국 환경보호청(EPA):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잠재적 인체 발암물질’로 분류
  •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염화비닐을 백혈병, 림프종 및 희귀 간암, 뇌암, 폐암과 관련된 발암 물질로 분류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에 따르면, 8시간 동안 허용되는 최대 노출 한계는

  • 아크릴로나이트릴: 2ppm(0.002 g/L)
  • 염화비닐: 1ppm(0.001 g/L)

그러나 브레이드 스타일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씬테틱 익스텐션은 평균 8팩(26인치 기준)이 사용되며, 이는 무려 800g의 모다크릴릭 섬유에 6주 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과 같다.

씬테틱 익스텐션에는 열에 노출될 때 휘발성 유기 화합물인 VOCs를 방출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 대부분의 브레이딩 미용사들은 씬테틱 브레이드의 끝부분을 뜨거운 물이나 고데기로 밀봉하는데, 이 과정에서 VOCs가 방출된다.
  • VOCs에 장기간 노출되면 흑인 소비자의 천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씬테틱 익스텐션에는 난연제(flame retardants)가 포함되어 있다. 난연제는 화재 안전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렴한 화학 물질이지만, 실제로 난연제 사용은 화재 안전법상 필수가 아니다.

  • 뉴욕주는 2022년 1월, 델라웨어, 조지아, 아이오와, 웨스트버지니아 등 4개 주와 함께 난연제 사용을 금지했다.
  • 난연제는 발암성 및 생식 기관 독성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 그러나 현재 미국 연방 차원의 난연제 금지 규정은 없는 상태로, 씬테틱 익스텐션 사용자들은 여전히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공공 안전을 위해 현행 난연제 금지 법안의 강력한 시행과, 연방 차원의 난연제 사용 금지가 필요하다.

전문 브레이더들은 씬테틱 브레이드의 화학적 구성과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교육을 받아야 한다.

  • 미국의 미용사 교육 과정은 주마다 다르며, 일부 주에서는 브레이딩 교육이 필수 과정이 아니다.
  • 교육 과정이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은 스타일링 기술에 집중할 뿐, 익스텐션의 화학 성분에 대한 교육은 부족하다.
  • 또한, 전국적인 미용 면허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저소득층 브레이더들에게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비면허 브레이더들을 위한 소규모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자신이 구매하는 제품이 안전할 것이라 믿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씬테틱 브레이드 속 유해 성분은 흑인 커뮤니티 내에서 간과되고 있는 공중보건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흑인 여성들은 유럽 중심의 미적 기준에 맞추기 위한 헤어 제품을 대체할 건강한 옵션을 찾고 있으며, 씬테틱 브레이드는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재 연구와 정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독성 물질이 포함된 제품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즉각적인 공중보건 개입과 연구가 필요하다.

 

기여자(Contributors)

C.G.T.가 논문의 개념을 구상하고 작성하였습니다.

 

이해관계 선언(Declaration of Interests)

저는 이해관계 충돌이 없음을 선언합니다.

 

감사의 말(Acknowledgements)

이 논평(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소중한 의견을 제공해주신 많은 멘토와 동료들에게 감사드립니다. 특히, Dr. Armaghan Naik, Dr. Maria Trent, Dr. Amanda C. Raff, Dr. Estelle Jean, Natalie Trachtman, Joan Kaufman, Isidra Rodriguez-Veve, Amy Wu, Justin Bryant, Jordan Tick, Waleed Ali, Sydney Pindling, Karl Roberts, Emilie Ernst, Emmanuel Mbamalu, Ashley Radparvar, 그리고 Veronica Peet 씨 에게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또한, 이 주제에 대해 글을 쓰도록 영감을 주신 Michelle Prince 씨 에게도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참고 문헌(References)

  1. James-Todd T., Connolly L., Preston E.V., et al. Hormonal activity in commonly used Black hair care products: evaluating hormone disruption as a plausible contribution to health disparities. J Expo Sci Environ Epidemiol. 2021;31:476–486. doi: 10.1038/s41370-021-00335-3. [DOI] [PMC free article] [PubMed] [Google Scholar]
  2. Hair wigs and extensions market - global outlook and forecast 2023-2028. Arizton Advisory & Intelligence. 2023. https://www.arizton.com/market-reports/hair-wigs-and-extension-market-report-2024 published online Jan.

  3. Rominiyi C. Black haircare - US - 2022. Mintel. https://reports.mintel.com/display/1175623/ 

  4. 2021 Demographice by race and ethnicity. United States Census Bureau. https://data.census.gov/table?q=2021+demographice+by+Race+and+Ethnicity&y=2021&tid=ACSDT1Y2021.B01001B 

  5. About Kanekalon. Kaneka Performance Fibers Solutions Vehicle. https://www.kanekalon-hair.com/en/about

  6. Acrylonitril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ttps://www.epa.gov/sites/default/files/2016-09/documents/acrylonitrile.pdf [PubMed]

  7. Vinyl chloride. 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s://www.cancer.gov/about-cancer/causes-prevention/risk/substances/vinyl-chloride

  8. Permissible exposure limits – annotated table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https://www.osha.gov/annotated-pels/table-z-1

  9. Auguste D., Miller S.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s from heated synthetic hair: a pilot study. Environ Health Insights. 2020;14 doi: 10.1177/1178630219890876. [DOI] [PMC free article] [PubMed] [Google Scholar]

  10. Fire safety codes and standards. FlameRetardantFacts.com. https://www.flameretardantfacts.com/fire-safety/fire-safety-codes-and-standards/

  11. New York bans flame retardant chemicals in consumer products. U.S. Fire Administration. 2022. https://web.archive.org/web/20220203111237/https://www.usfa.fema.gov/blog/ig-012722.html published online Jan 27.

  12. 1600 Hour cosmetology curriculum review. California Board of Barbering and Cosmetology. 2018. https://www.barbercosmo.ca.gov/about_us/meetings/materials/20180205_1600hr.pdf published online Feb 5.

  13. Braider opportunity and freedom act. Institute for Justice. https://ij.org/legislation/braider-opportunity-and-freedom-act/

Articles from Lancet Regional Health - Americas are provided here courtesy of Elsevier